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

골프장이 남긴 마을: 리조트 붐이 지나간 자리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전국에는 ‘골프장 리조트 붐’이 일었습니다. 당시엔 외국 골프 관광객 유치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내세워 수많은 골프장이 산과 들을 깎고 들어섰습니다. 그러나 그 붐은 오래가지 못했고, 시간이 흐른 지금 많은 골프장 인근 마을은 개발의 후폭풍 속에 조용히 사라지거나, 유지비조차 감당 못한 채 방치된 채로 남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때 지역의 미래로 불렸던 골프장 중심 마을들이 어떻게 변해갔는지를 따라가 확인해 보려 합니다. 골프장은 어떻게 마을을 바꾸었는가- 리조트 조성과 마을 해체 1990년대 중반부터 강원, 충청, 전남 일대를 중심으로 골프장과 연계된 리조트 단지가 대규모로 조성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스포츠 시설이 아니라, 부동산 개발과 숙박, 관광, 회.. 2025. 4. 19.
방치된 유산: 관광지로 개발되려다 멈춘 근현대 유적지들 과거 화려한 조명을 받으며 지역의 새로운 관광 자원으로 주목받았던 근현대 유적지들이, 이제는 덩그러니 남아 잡초와 녹슨 철문 속에 방치되어 있습니다. '관광지로 개발되다 중단된 근현대 유산'에 초점을 맞춰,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지, 어떤 장소들이 현재 그런 운명에 놓여 있는지가 궁금해서 오늘 글을 작성해 보려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히 그중에서도낡았지만 가치 있는 공간들, 그 사이에 놓인 우리 사회의 기억과 과제를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개발에 실패한 근현대 유산, 어디서부터 어긋났나1. 지자체 주도의 단기성 개발 전략 많은 근현대 유적지들은 2000년대 중후반부터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문화재+관광’이라는 방식으로 재개발에 착수했습니다. 특히 일제강점기 유적지나 산업화 시기의 공장, 철도 .. 2025. 4. 19.
시장에서 삶을 팔던 골목: 문을 닫은 전통 5일장의 마지막 흔적 한때는 ‘장날’이 곧 ‘동네의 축제일’이었습니다. 달력보다 장날을 먼저 기억하고, 사람보다 물건보다 먼저 그 시끌벅적한 소리를 떠올리던 시절. 하지만 지금, 전국 곳곳에서 5일장이 조용히 사라지고 있습니다. 제가 살았던 지역도 5일장이 열리곤 하나, 예전보다 조용함이 물씬 느껴지는 안타까움에.. 오늘 글에서는 전통 5일장이 걸어온 역사와 현재, 그리고 문을 닫은 장터의 풍경과 그 의미를 되짚어보려 합니다. 5일장, 한국의 삶을 담았던 장터① 자연스럽게 시작된 민속 경제 5일장은 이름 그대로 5일마다 한 번씩 열리는 장터입니다. 조선 후기부터 농촌과 산간 지역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이 장터는, 지역 경제의 핵심이자 교류의 장이었습니다. 이곳에서는 채소, 생선, 곡물 같은 생활필수품부터 의복, 농기구, 약.. 2025. 4. 19.
재개발에 밀려난 명소: 공원과 시장이 사라진 동네 이야기 도시가 끊임없이 변하고 발전하는 사이, 우리 곁에서 사라진 장소들이 있습니다. 동네 사람들의 일상이 깃들었던 골목 시장, 아이들의 웃음이 넘쳤던 동네 공원, 철마다 다양한 풍경을 선물하던 시민의 쉼터들이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개발이라는 이름 아래 사라져버린 우리 동네의 명소들을 돌아보며, 그 상실의 의미와 지금의 도시가 놓치고 있는 것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재개발의 그늘 속에서 사라진 풍경들① 도시 재생이라는 이름의 공간 소멸 ‘재개발’은 낡은 도시를 새롭게 만들고, 더 많은 인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입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도시의 풍경은 자주 급격히 바뀌며, 오랫동안 지역민과 함께했던 공간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곤 합니다. 특히 생활권 중심에 있던 재래시장이나 작.. 2025. 4. 18.
온천의 쇠퇴: 사라진 유황 냄새와 휴양지의 기억 한때 겨울철 최고의 여행지이자 가족 단위 휴양의 상징이었던 ‘온천’은, 어느 순간부터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점차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 유황 냄새가 코를 찌르던 낡은 온천탕, 호텔 앞 전단지를 들고 발길을 재촉하던 여행객, 노곤한 몸을 담그며 지친 일상을 잠시 내려놓던 기억이 있으신가요? 이번 글에서는 전성기를 누렸던 우리나라의 온천 문화가 어떻게 쇠퇴해 왔는지, 그리고 그 흔적들이 지금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는지, 더 나아가 이 온천 명소들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온천 여행의 전성기, 그리고 그 인기의 배경① 8090년대, 가족 중심의 단체 온천 여행 1980-90년대 우리나라에서 ‘온천’은 단순한 목욕을 넘어, 한 해에 한두 번 가족이 함께 떠나는 대표적인 휴양지.. 2025. 4. 18.
계곡의 시대는 끝났나: 물놀이 명소에서 조용한 휴식처로 예전에 비해 여름만 되면 인산인해를 이루던 계곡들이 조용해지고 있습니다. 시원한 물소리와 함께 펼쳐지는 자연 속 피서지는 여전히 아름답지만, 그 붐비던 시절은 점점 과거의 추억으로만 남아가고 있습니다. 계곡 관광은 시대 변화와 함께 이용 형태가 달라지고 있고, 일부는 폐쇄되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재정비되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계곡 관광’이라는 문화가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그리고 예전의 물놀이 명소들이 지금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지자세히 들여다보려 합니다. 여름 관광의 상징이었던 계곡, 그 시절을 돌아보다① 피서 문화의 중심, 계곡 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계곡은 여름철 대표 관광지였습니다. 폭염 속에서도 시원한 물줄기와 그늘 아래 펼쳐지는 평상 하나면, 도심의 무.. 2025. 4. 18.